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교통안전
- 한계사고율
- 국가교통조사
- 혼잡통행료
- 교통사고 잦은지점
- 한국교통연구원
- 안전진단제도
- 국가기간교통망계획
- 교통계획
- 교통사고다발지점
- 사고지점선정
- 사고다발지점
- 교통사고지점선정
- 교통혼잡비용
- 교통
- 교통유발부담금
- 혼잡비용
- 교통사고 다발지점 선정방법
- 링크저항함수
- 위험도로개량사업
-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
- VDF
- 교통사고
- 교통혼잡
- 부담금
- 교통안전사업
- BPR
- 교통사고 다발지점
-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
- 어린이보호구역
- Today
- Total
목록BPR (2)
사소한것에서부터 중요한것까지 이 세상 궁금한 모든것들

1. 개요 ㅇ 일반화비용이란, 통행자의 선택행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나의 표준적 측정치로 나타낸값 2. 일반화 비용 활용 1) 기본적 적용 ① 일반화비용은 선택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중 측정가능한 일부 요소를 이용한 개략치를 사용하는것(ex 통행시간)이 일반적임 ② 일반화 비용을 적용하는 이유 ㅇ 통행자의 선택행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정량적, 정성적 요소들의 모든 측정치를 표준화하는 것은 불가능 ㅇ 통행배정시 통행저항을 나타내는 변수가 다원화 될 경우 최적해 산출이 어렵기 때문 2) 통행수단 선택에서의 활용 3) 통행배정에서의 일반화비용 3. 맺음말 ㅇ 일반화비용은 통행배정에 있으서 링크의 비용을 계산하는데만 이용되는 개념은 아니며, 통행자의 교통수단선택, 정책수단으로서 ..

1. 정의 ㅇ BPR식 링크저항함수란, 링크의 용량대비 교통량 수준에 따른 통행시간과의 관계를 함수식으로 표현한 것으로서, 통행배정 과정에서 통행수요를 각 경로에 할당할때 기준으로 사용됨 2. BPR 함수의 특성 및 적용 1) 적용식 2) 특성 ㅇ 미국 도로국 (Bureau of Public Road )에서 개발된 함수 ㅇ 최단경로상에 통행량 전량배정후 반복과정 통해 파라메터 산정 ㅇ 과포화시 링크저항 정도를 합리적으로 반영하지 못함 3. 링크저항함수 조건 ㅇ 실제 현장을 잘반영하고 계산이 가능해야함 ㅇ 함수는 연속적이고 미분가능해야함 ㅇ 통행량에 비하여 비감소, 단조성 가져야함 ㅇ 함수는 용량이상의 교통량에서도 실제적인 값 도출 가능해야함 ㅇ 함수는 현실적 요구에 맞춰 손쉽게 조작 가능해야함 ※ BPR..